본문 바로가기

일상

(10)
[일상] AfterGPT 웹으로 간단하게 https://ji-seung.tistory.com/72 [iOS] AfterGPT 출시와 생각2월 말에 AfterGPT가 출시되었다. https://apps.apple.com/in/app/aftergpt/id6477769508 ‎AfterGPT ‎AfterGPT는 ChatGPT 영어 스피킹 기록장입니다. ChatGPT와 대화 후에, AfterGPT에서 해당 대화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습ji-seung.tistory.com이 글을 쓰고 한 달 정도 시간이 흘렀다. 내가 추가하고 싶었던 문장 복사 기능을 추가하였지만 여전히 유저는 거의 없다. 물론 내가 아예 홍보를 안 한 까닭도 있지만 애초에 어플에 자신이 있지 않다. 아래는 그 이유들이다. 유용하거나 재밌지 않다.눈을 확 끌 수 있는 확실한 기능도 없..
[일상] 재개 (영어 동아리 회장) 바쁜 나머지 글을 못 썼다. 뭐가 그렇게 바빴냐고 물어보면, 우선 영어 동아리 회장이다. 200명이 넘는 규모의 동아리이다 보니 시간 들어가는 일이 많다. 정규 모임, 뒷풀이를 할 장소를 예약하는 것도 문제이다. 또 이번 주에는 엠티까지 간다. 고기, 술 준비, 인원 통솔, 컨텐츠 제작 .. 물론 내가 다 하지는 않지만 어느 정도 이해는 하고 있어야 한다. 물론 이러한 일에만 시간을 쓰는 것은 이상적이다. 이것 외에도 동아리 내의 정치 또한 관여해야 하는 분야이다. 여기서 정치란 내가 하고 싶은 대로 판을 짜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닌, 부당한 일이 생긴 경우 거기에 대한 나의 의견을 전달하는 것이다. 원래의 나는 이러한 부당한 일, 갈등이 있으면 쉭 지나가는 편이다. 어차피 내 일도 아니고 신경쓴다고 ..
[일상] 루틴 구체화하기 지난 2주간, 크게 4가지 항목에 집중하려고 하였다. 각 항목을 점검해보자. 1. 개발 구체적으론 iOS 개발이다. 현재 iOS 튜토리얼을 통해 SwiftUI의 기본적인 동작 방식, 코드 구성 원리 정도는 이해한 상태이다. 현재는 SwiftSoup (외부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웹 스크래핑하는 걸 시도하고 있다. 향후, 앱 개발을 위해선 Ulkit 코드도 읽을 줄 알아야 할 것 같다. 2. 웨이트 제일 재밌는 항목이다. 오버헤드 프레스는 마무리 동작에서 불편함을 느껴서 안하고 있다. 대신 스미스 머신에서 고립 위주로 어깨는 따로 훈련하고 있다. 그 외, 스쿼트 (75kg), 벤치(70kg), 데드(85kg)는 모두 순조롭다. 부상을 경계하며 중량을 늘리는 데 집중 중이다. 3. PS  CERC 문제를 ..
[일상] 루틴 만들기 그동안 나름의 루틴은 존재하였다. 11시쯤 기상 11시 30분 쯤 점심 식사 1시 카페 및 도서관으로 이동 & 공부 시작 3시 반 마무리 4시 반 집으로 이동 및 휴식 5시 반 까지 운동 6시 까지 휴식 7시 까지 저녁 식사 9시 반까지 피시방 10시부터 짜투리 공부 (주로 영어공부나 ps나 오전에 공부한 개발 공부 정리) 11시 12시 쯤 마무리 및 샤워 2시까지 유튜브 시청 및 잠 나름 할 거는 다하지만 분명 아쉬운 점은 분명하다. 너무 늦은 아침 영어 공부 투자 시간이 너무 적음 ps도 좀 적음 당장 앉아서 계획을 수정하는 것이 제대로 실현될 확률은 희박하다. 우선 하나만 바꿔보자. 기상시간! 두시간 일찍 일어나보자.
[일상] 웨이트 트레이닝 20살이 된 이후로부터 꾸준히 웨이트 트레이닝은 해왔지만 요근래처럼 무게를 높이는 데 집중을 한 적은 없었다. 무거운 무게를 들기에는 나의 허리는 많이 길고 코어는 약하다. 확실히 불리한 체형이다. 그래서 무게도 얼마 많이 들지 못한다. 스쿼트 - 75kg 벤치 프레스 - 60kg 데드 리프트 - 75kg 푸쉬 프레스 - 45kg 확실히 상체 근력에 비해 하체 및 코어 근력이 요구되는 운동 (스쿼트, 데드리프트)에서 약점이 있다. 3대 210 으로 딱 초심자 수준이다. 그런데 이 무게를 높이는 것이 확실히 재미가 있다. 운동을 가기 전부터 "아 오늘 데드리프트 80kg 할 수 있겠지?"와 같은 설렘이 있다. 실제로 운동을 하는 것은 금방이다. 반복수가 많지 않기에 보조 운동을 포함해도 40분 내외로 운동..
사이드 프로젝트 관련 잡념 사이드 프로젝트를 시작하고자 한다. 사업이나 투자를 생각하는 건 아니고 그냥 하나하나 과정을 직접 조립하고 싶다. 물론 프로젝트 내에서 용돈 정도의 벌이가 나오면 좋다. 아래는 내가 진행할 프로젝트 특징이다. AI image generation (output이 이미지로 나와야 함) 히히덕 거리면서 진행할 수 있는 주제 유료 (결제 프로세스가 있어야 함) 위 조건들이 충족되어 인스타그램 스토리에 나의 서비스를 통한 이미지들이 돌아다녔으면 한다. 스노우의 미국 졸업사진이랑 비슷한 결이다. 웹 vs 앱 이게 요새 나의 고민이다. AI 기반 사진 생성 서비스를 웹으로 구현할지 앱으로 구현할지. 두 가지 모두 장단점이 뚜렷하다. 웹 앱 러닝 커브 적음 거의 처음부터 배워야 함 결제 받으려면 사업자 등록 인앱 결제..
Open Source Contribute 오픈소스에 기여하는 것은 자체로 의미가 있다. 우선 세계 각국의 똑똑한 사람들과의 커뮤니티가 형성된다. 그들이 일하는 방식, 코드가 merge 되는 방식을 자연스럽게 배울 수 있다. 또한 그 자체가 개인 포트폴리오가 된다. 내가 만든 오픈소스가 유명해지면, 나도 유명해지고, 이러면 회사에 들어가거나 계약을 할 때 훨씬 쉬울 것이다. 아직까지는 흐릿한 목표이다. 어떤 오픈소스에 기여할지도 미정이다. 또한 어떤 bug에 대해서 fix 해주는 방식으로 기여할지 아니면 자체 library를 만드는 방식으로 할지도 잘 모르겠다. 우선 이 생태계가 돌아가는 내용을 파악하고 나의 자리를 찾아야 겠다. 그래도 나름의 기준은 있다. 제법 규모있는, 활성화 된, 친절한 커뮤니티. 이러한 커뮤니티에서 활동하고 싶다.
icpc 예선 후기 오늘 학교에 가서 icpc 예선에 참가했다. 오랜만에 알고리즘 문제를 풀고 팀원들이랑 얘기해서 인지 뭐가 그렇게 재밌었는지 모르겠다. 계속 웃음이 나오면서 대회를 진행했던 것 같다. 좀 구체적인 알고리즘 구현법은 까먹었지만 팀원 형 도움을 받을 수 있어서 다행이었다. 대강 큰 알고리즘 로직을 떠올리고 구현하는 과정이 되게 재밌었다. 결과는 3솔이지만 나름 만족한다. 시간 들여서 푼 문제가 마지막에 맞혀서 기분은 좋다. 딱 진지하게 몇달 집중해서 리저널에 진출하고 싶다는 막연한 생각은 있다. 다만 알고리즘 대회 입상의 중요도, 실질적인 가능성, 다른 프로젝트의 진행 등등 현실적인 생각들도 동시에 가지고 있다. 아무튼 오늘처럼 그냥 알고리즘을 즐길 수 있으면 좋겠다.
GPT와 대화가 가능하다. chat gpt와 대화가 가능하다. 상황극을 할 수도 있고, it 관련 이야기를 할 수도 있고 개인적인 이야기를 할 수도 있다. 단순히 크롬 확장 프로그램을 써서 대화를 했던 것과는 퀄리티가 다르다. 실제 외국인과 이야기를 하는 듯한 느낌을 많이 받았다. 아래는 내가 받았던 장점들이다. 쫄려도 말할 수 있다. 영어로 말하다 막히는 부분을 한국어로 말해도 다 알아듣는다. 특정 도메인에 대한 지식이 상당히 깊다. 말의 스피드가 꽤 빠르다. (내 입장에선) 저렴하다. (아직까진.. ) 항상 영어에 대한 갈증은 있었다. 그래서 지금 영어 동아리를 하기도 하고, 그전에는 "링글"이라는 어플을 사용하기도 하였다. 링글은 실제 서구권 대학생들과 이야기를 할 수 있게 하는 플랫폼이었다. 수업의 수준도 높고 많이 배웠지..
AI 혼돈 속에서 살아남기 [프로그래머편] AI가 기승을 부린다. Chat gpt, bard 등 텍스트 생성 AI를 필두로 이미지 분석, 음성 처리, 추천 시스템 등 이제는 AI를 아예 안 쓴 서비스를 찾기가 더 힘들다. 나는 이런 변화가 달갑지 않다. 대체될 것 같다. 내가 하고 있는 행동이 AI에 의해 아주 쉽게 해결될 수 있다고 생각하면, 그 순간 의욕이 바닥을 친다. 이런 생각은 제법 나를 무기력하게 만들었다. 아마 알파고가 등장한 후, 바둑기사들과 같은 심정일 것이다. '그럼 나는 뭐 해야하지?' 자연스럽게 같이 들었던 생각이다. AI 혼돈 속에서 살아남기 위한 실질적인 해법이 무엇인지 궁금했다. 우연한 기회로 마에스트로 프로젝트의 멘토님께 질문드렸고 멘토님은 두 가지를 강조하셨다. Critical thinking Communicatio..